綜 合 資 料 室/多樣한 情報

베이컨의 4대 偶像論

松雪花 2014. 7. 15. 07:36


영국의 경험론 철학자 프란시스 베이컨Francis Bacon, 1561~1626은 일상적인 경험에 대한 관찰과 실험을 통해 지식과

 

법칙을 이끌어 내려 했다. 경험을 바탕으로 올바른 지식을 만들어 내는 귀납법이, 인간이 자연을 지배하는 데 큰 힘이

 

된다고 여겼던 것이다.

 

그러나 귀납법을 바로 학문에 적용하기는 어려웠다.

 

과거 수백 년 동안 스콜라 철학이 인간 정신에 박아 놓은 '편견'이 너무도 컸던 탓이다. 따라서 베이컨은 편견을 뿌리 뽑

 

을 목적에서 '종족의 우상', '동굴의 우상', '시장의 우상', '극장의 우상'이라는 유명한 '4대 우상론'을 내세웠다.

 

 


◆ 종족의 우상Idols of the Tribe :

 

 모든 것을 인간 중심으로 해석하는 편견

 

 

 

우리 정신은 울퉁불퉁한 거울과 같아서, 자연현상을 그대로 보지 못하고, 항상 인간과 관련 지어 해석하는 오류를 범한

 

다. 번개가 치는 이유를 우리가 벼락 맞을 짓을 했기 때문이라 보는 오류가 여기에 해당한다.

 

 

 
◆ 동굴의 우상Idols of the Den :

 

개개인의 특수한 성질과 습성, 성격, 환경에서 나오는 개인적인 편견

 

 

 


◆ 시장의 우상Idols of the Marketplace :

 

언어의 잘못된 사용이나 언어의 참뜻을 잘못 이해하는 데서 생기는 편견

 

 

 

증권시장은 시장의 우상으로 베이컨이 설명하려는 바를 잘 보여 준다.

 

증권시장에서는 사실 여부와 상관없이 입 소문만으로도 시세가 올랐다 내렸다 한다.

 

마찬가지로, 행운의 여신, 봉황 같은 말들도 실체를 객관적으로 증명하기 어려운 시장의 우상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다.

 

 


◆ 극장의 우상Idols of the Theatre :

 

잘못된 원칙이나 학설, 전통이나 권위, 유행 등을 아무런 비판없이 맹목적으로 수용하고 신뢰하는 데서 비롯되는 편견

 

 

잘 차려진 무대 위에서는 모든 것이 그럴듯하게 보이듯, 그릇된 많은 학설들이 기득권이라는 무대 위에서 자신을 내세

 

우며 우리의 판단을 어지럽힌다.

 

 

 

 

 

 

베이컨의 우상론

 

 

 

 

베이컨은 우리가 자연에 있는 그대로 접근하는 것을 방해하는 장애물을 우상(偶像,idol)이라고 불렀다. 그는 이러한 우

 

상을 네 가지로 나누고 있다.

 

 

 

ㆍ종족의 우상 :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것들을 그 자체의 입장에서가 아니라 우리 자신의 감정이나 우리 자신의 입장, 즉 인간 중심적인

 

입장에서 보는 편견을 가리키는 말이다.

 

 

 

 

ㆍ동굴의 우상 :

 

장님이 코끼리를 만진다면, 각각의 장님은 자기가 경험한 것만을 가지고 한 마리의 코끼리에 대해 서로 다른 주장을 할

 

것이다. 이처럼 개인이 지닌 한계, 즉 개인이 받은 교육이나 성향, 역할 때문에 가질 수밖에 없는 편견이다.

 

 

 

 

ㆍ시장의 우상 :

 

우리 주변에서 가장 말이 많이 오고 가는 곳은 사람들이 가장 많이 모이는 시장이 될 것이다. 시장에서는 물건을 사고

 

파는 것만이 아니라 세상의 모든 잡다한 소문들이 만들어지고 전달되기도 한다. 시장에서 떠도는 말을 관찰이나 경험

 

없이 그대로 받아들여서 그 말에 걸맞는 실제 대상이 있을 것이라고 믿어 버리는 것, 즉 말이나 언어로 말미암아 만들어

 

지는 잘못된 생각을 가리킨다.

 

 

 

 

ㆍ극장의 우상 :

 

자신의 깊은 사색이나 경험에 의해 판단하지 않고, 극장에서 상영되는 영화 속의 주인공과 같이 권위나 전통을 지닌 어

 

떤 사람의 학설이나 주장을 그대로 받아들이게 되는 잘못된 태도를 극장의 우상이라고 한다. 우리가 일상 생활에서 권

 

위 있는 사람의 이름을 빌어서 '누구누구가 뭐라고 말했다.'는 것으로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하거나 그대로 옳다고 믿게

 

되는 것이 극장의 우상의 대표적인 예이다.

 

 

 

 

종족의 우상(種族의 偶像)

인간이라는 종족 전체의 공통적 성질에 의하여 생기는 오류이다. 인간이 가진 생물학적 특징이나 사회적 정서 및 편견을 가지고 사물을 바라보고 이해하거나 해석하는 태도로서, 인간 자신의 성질을 만물에 투사하여 그것을 규정하려는 것을 말한다. 가령 자연을 의인화하여 본다거나 혹은 인간 자신이 목적적 행위를 한다는 이유로 자연에 대해서도 그와 같은 목적적 견해로 보려는 것 등이 그것이다

예) '꽃이 나를 보고 방긋 웃는다.'
'꾀꼬리가 봄을 찬미하여 노래를 부른다.'

동굴의 우상(洞窟의 偶像)

평생을 동굴에서 살던 사람이 세상에 나왔을 때 개인의 주관이나 선입견 및 편견을 가지고 봄으로써 넓은 세계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게 되는 폐단을 말한다. 즉 개인 각자의 특수한 성벽(性癖), 교육(敎育), 교양(敎養), 습관(習慣), 환경(環境), 호오(好惡), 격정(激情) 등으로인해 공정한 견해와 판단을 그르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베이컨은 여러 사람들과 협동하고 상호비판을 통하여 이 우상을 극복할 것을 제안한다.

예) '우물 안 개구리'

시장의 우상(市場의 偶像)

사람이 서로 교역하며 관련을 짓는 시장에서 사물들에게 적합치 못한 단어나 이름을 붙여 사용함으로써 생기는 우상을 말한다. 특히 잘못된 언어를 사용함으로써 사물의 이해를 방해하는 것을 말한다. 이는 언어와 실재를 혼동하는 데서 오는 오류이며, 언어가 있다고 해서 반드시 그에 대응하는 실재가 있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베이컨은 실제 물체와 현상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언어나 말 대신에, 실험이나 사물 자체의 관찰을 통해 이런 오류를 극복할 것을 주장한다.

예) '평화를 위한 전쟁'
'대동아 공영권'

극장(劇場)의 우상(偶像)

자신의 사색이나 경험에 따라 판단하여 옳고 그름을 명백히 함이 없이, 학문적 패러다임의 지배를 받아 자신들의 편견과 왜곡을 인식하지 못하거나. 권위나 전통을 지닌 어떤 사람의 학설이나 주장을 무비판적으로 그대로 받아들여 그것에 의지하려는 데서 생겨나는 편견을 말한다. 우리가 일상 생활에서 권위 있는 사람의 이름을 빌어서 '누구누구는 뭐라고 말했다'는 등으로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하거나 그대로 옳다고 믿게 되는 것을 말한다. 이는 마치 배우가 극장에서 연출하는 연극 속의 주인공과 같이 흉내내는 것에 불과함을 말하는 것이다.

(예) '이 칫솔은 치아 건강에 좋은 제품임이 분명하다. 왜냐 하면 유명한 아나운서가 선전하는 치약이거든.'
'니체가 "신은 죽었다"라고 했으므로 하느님을 믿을 필요는 없어. 그와 같은 위대한 철학자가 거짓말을 하진 않았을 테니까.'
'그가 말한 경제 이론은 모두 맞을 거야. 왜냐하면 그는 그 유명한 <경제학 원론>을 쓴 저자이고 서울대학교의 교수이니까.'

좀더 쉽게 설명한 글을 찾으면
1. 종족의 우상.......자기와 가까이 있고 같은 테두리 안에 있는 사람들만을 사랑한다.
2. 동굴의 우상....... 자신의 가장 뛰어나고 옳다는 관념 안에 살면서 절대로
다른 세계를 용납하려 하지 않는다.
3. 시장의 우상........ 조용한 주님의 음성을 들으려 하지 않고 큰 목소리를 따라간다. 누가 가장 영향력있고 큰 목소리로 사역하는가? 그가 결국 시장을 석권한다.
4. 극장의 우상.........유명한 배우와 연기자들이 많이 나타나고 사람들은 거짓된 배우들의 연기에 속아넘어간다. 참 신앙이 아닌 겉으로 그럴듯한 말들과 사람들을 즐겁게 하는 인기인 사역자들의 거짓된 신앙에 많은 이들이 기만을 당한다.



1,종족의 우상은 자민족 우월 주의나 혹은 님비현상 같은 것이 되겠죠..
히틀러가 유태인을 말살하려고 한 이유도 자민족 우월주의 였으니
그런 예가 될것이고

2. 동굴의 우상은 우물안의 개구리 말고도 국수주의
혹은 자문화 우월주의가 되겠죠

3.시장의 우상은 언어에 의한 오류 이므로 쉽게 말함 목소리
큰 사람이 이긴단 거죠..

4.극장의 우상은 로마시대 콜로세움이 로마시민의
정치적 관심사를 배앗아 간것이나.80년대 전두환 정권이 사용한
3s정책등을 들수 있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