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여년간 인상학을 연구해온 구봉 최형규씨(74ㆍ구봉인상학연구회 명예회장)의 도움으로 역대 주요 대통령의 관상을 동물 형상에 비유해 풀어보았다. 구봉선생은 역대 대통령들 중에는 맹수류에 속하는 상이 많았다고 지적했다. 또 하나같이 귀가 크고 두터우며 늘씬하게 생겼으며, 노무현 대통령을 빼면 모두 이마가 넓은 점이 공통점이었다. '임금님의 귀는 당나귀 귀'라는 우화도 있듯, 귀의 착위점은 당나귀 귀처럼 높이 난 꼴일수록 귀격이라고 지적했다.
▶이명박=여우상이다. 여우상은 꾀가 많고 재간이 뛰어나다. 작은 눈은 사물을 대충보는 법이 없이 꿰뚫어보는 눈이다. 권위 보다는 사안을 직시하고 실천하는 대통령의 눈으로 더 바랄 것이 없다. 귀는 17대 대선후보들 중 착위점이 가장 높다. 책임감을 담은 입, 뚜렷한 주관을 내세울 줄 아는 자존심 강한 코도 돋보인다. 그러나 오관중 흠을 잡는다면 동료뻘의 대인관계를 나타내는 눈썹이다. 이 때문에 경합에 약한 면이 보이니 윗사람의 말에 귀기울이고, 동지를 껴안아야 한다. ▶박정희=고고한 봉황에 가깝다. 눈 코 입 귀 눈썹 등 오관은 군인으로, 정치가로, 통치자의 것으로 제격이다. 그러나 육부 중 짧고 뒤로 젖혀진 턱끝은 흠이다. 이런 턱은 60세가 넘어서면 더는 윗사람이 앉는 자리에는 머물지 못한다. 결국 과욕으로 비운을 겪을 수밖에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전두환=백수의 왕이라는 사자상은 양보나 타협이 없다. 그러나 실제 동물 사냥에서는 수사자보다 암사자가 무섭게 날뛴다. 지난날 전씨는 대통령이 되는 과정도 마치 야생의 세계에서나 볼 수 있듯이 백수의 접근을 용납하지 않았다. 오로지 암사자의 기질과 우악스런 힘으로 북악산 자락의 주인으로 군림했던 것이다. ▶노태우=수사자상이다. 동물의 세계에서 수컷은 암컷 보다 소극적이다. 수사자는 갈퀴를 멋지게 날리며 암사자가 포획해온 먹이를 먹는다. 노씨가 전두환 전 대통령과 육사 동기로 12ㆍ12사태 이후 두 사람이 의기투합해 정권을 휘어잡는 거사를 주도할 수 있었던 것은 동기생이라는 그 한 가지 이유로 보지 않는다. 두 사람의 호흡이 잘 맞았기에 동반질주가 가능했던 것이다. ▶김영삼=갈매기상이다. 멸치잡이가 생업이었던 아버지가 곁을 지키고 있는 한 그의 인생은 출발점부터 좁은 길은 아니었다. 넓은 이마, 넓은 미간의 소유자로 대도무문(大道無門)을 내세웠다. 그러나 한 나라의 살림살이 사정은 지도자의 재백궁(콧망울) 사정을 따른다. 그의 콧망울은 빈털터리여서 취임과 동시에 찾아왔던 IMF에 그의 재백궁이 한 몫한 셈이다. ▶김대중=장수상인 거북상이다. 하마터면 현해탄 물고기 밥이 될 뻔 했던 그는 80세를 훨씬 넘기고 살다가 갔다. 거북이의 고향은 바닷가 모래밭이다. 예로부터 거북이상은 도서국에서 우두머리가 된다고 했다. 삼면이 바다인 한반도로 볼 때 거북상 우두머리의 출현은 예상된 일이다. ▶노무현=살쾡이 상이다. 혹자는 시라소니 상이라고 하는데 틀린 말은 아니다. 호랑이나 표범보다 작은 편이며, 그렇다고 해도 고양이상으로 보기에는 다소 큰 편이다. 살쾡이는 야행성이며 술수가 뛰어나다. 무리지어 사는 것을 싫어하고 언제나 발자국 소리를 죽이며 홀로 활보한다. 이웃이 없고 주변형성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뜻이다. 동료지간이나 정당원간 나아가 국제관계도 마찬가지이다. 이마의 굵은 주름이 그를 대통령 자리에 오르게 한 중요한 일등공신이다.
관상가들이 본 김정은
"호랑이相............ 군대라면 출세, 정치하면 暴政 가능성"
9월 30일 공개된 김정은의 얼굴 사진을 본 관상 전문가들은
"할아버지·아버지에 비해 지도자감으로는 부족한 관상"이라며
"스위스 국제학교 시절 공개됐던 얼굴과 동일인인가 싶을 정도로 그 사이 얼굴이 많이 변했다"고
입을 모았다.전문가들이 공통으로 지적한 것은 이마였다.
관상가 조규문(47)씨는
"김일성·김정일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이마가 좁다"면서
"이마에 들어 있는 복이나 덕, 사회적 지위나 정치적인 입지가 부족하다고 볼 수 있다"고 했다.
조씨는
"김일성이나 김정일의 한일(一)자 입 모양과 달리 김정은은 입꼬리가 밑으로 처진 꺾어진 갈매기 형태"라며
"의지가 약하고 말년 운이 좋지 않아 지도자감인지 의심이 든다"고 했다.

관상가 최형규(78)씨는
"동물로 비유하자면 김정일이 곰이라고 했을 때 김정은은 호랑이에 가깝다"며
"곰이 군생을 안 하고 혼자 살려 한다면 비타협적인 호랑이상은
군대에서라면 출세하겠지만 정치를 하면 폭정을 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김정은의 두드러진 광대뼈(광골)에도 주목했다.
김광일(59) 국제관상학회 회장은
"잘 생긴 코는 아니지만 좌우 광골이 옆에서 코를 잘 덮고 있어
친인척이나 주변 사람의 도움을 받아 정상에 오를 상"이라며
"눈이 작고 날카로워 자기 고집대로 밀고 나가는 승부욕과 집념이 강해 보인다"고 했다.
주선희(51) 원광디지털대 얼굴경영학과 교수는
"광골이 크다는 건 명예를 중시한다는 것"이라며
"어린 나이임에도 목주름이 계단처럼 잘 잡혀 있는 것 역시
평소 남들 보는 앞에서 흐트러짐 없이 행동해 왔다는 뜻"이라고 했다.
주 교수는
"살이 쪄서 입 주위가 뺨으로 올라가 붙을 수도 있는데
불도그처럼 입 양쪽이 축 처진 것은 자기 의사와 다를 때 용납을 잘 안 하는 편"이라며
"귓밥이 두둑하지 않고 날카로운 귀는
순응하기보다는 개혁·개척 성향이 강해 한순간 모든 것을 뒤집어엎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인상학 전문가들이 본 김정은 관상

광대뼈가 툭 튀어나온 것은 할아버지를,
미간과 이마 부분은 아버지를 닮아 지도력이 뛰어나고 머리도 비상하다.
광대뼈와 턱이 튀어나오면서 발달해 활동적인 성격이다.
살이 많이 쪄서 퍼져 보이지만 눈썹 사이가 좁아 분석력이 뛰어나고 머리를 잘 쓴다.
눈이 길게 찢어졌고 짝짝이 귓불은 순탄치 못한 북한의 미래를 예시하고 있다.
성격이 난폭한데다 이중적인 경향도 있어 마음에 안 들면 당장 내색은 않지만 인내력에 한계가 있다.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3년 이상 버텨주면 타고난 활동력으로 체제유지가 가능하다.
현 체제보다 좀 더 개방적이고, 중국 후진타오 주석과도 궁합이 잘 맞는 관상인데.
살이 많이 쪘어도 즐어워하지 않고 입가가 처진 것은 재미없는 삶이요,
목주름은 남을 의식한 표정관리로 생활이 경직되었기 때문이다.
얼굴 근육이 굳어 보이는 것은 후계자 수업으로 긴장된 생활과 스트레스로 얼굴 근육이 굳어 보인다.
옛날 사진엔 눈썹이 차분하고 길게 누워 있었는데, 지금은 끊어지듯 짧고 두껍다.
밀어붙이는 힘은 강하지만 대인관계는 좋을 수가 없다.
아무튼 할아버지나 아버지보다 이마와 턱이 부실해 위아래로 힘든 상황이다.
하지만 머리가 좋고 진지한 인상이어서 체제 유지를 위해서라면 남북대화에 응할 수도 있으리라.
'東洋哲學 > 相學(面.身體.手)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눈은 觀相의 90%, 함부로 칼 대면 ‘自害行爲’ <펌> (0) | 2014.12.15 |
---|---|
女性 心理 體形:가슴<펌> (0) | 2014.12.15 |
福을 부르는 메이크업 (0) | 2014.08.21 |
마음가짐에 따라 손금도 변한다. (0) | 2014.07.09 |
富者觀相 거지觀相<왕비님> (0) | 2013.05.21 |